본문 바로가기
IT관련정보

[코딩]간단하게 배울 수 있는 기초 스크래치 코딩 기본화면설명!

by 카피소 2020. 11. 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카피소입니다.

 

저는 요새 IT 관련으로 관심이 많이 있습니다. 직종을 바꾸고 싶어서 어떤 것이 좋을까 알아봤는데

 

IT 관련 업계가 유망하다고 해서 그것과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요즘 많이들 배우시는 게 코딩이신 거 같더라고요. 초등학생부터 코딩 교육이 의무화가 될 정도로

 

장래성이 있는 것 같아서 저도 코딩을 배워봤습니다. 제가 배운 것을 복습할 겸 또는 이 정보가 필요하신 분께

 

도움이 되고자 함이니 많이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스크래치란?

 

우선, 우리가 배울 스크래치는 간단하게 코딩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복잡하게 내가 직접 명령어를 써주지 않아도 이미 명령어로 된 블록이 있는데 이 블록을 내가 원하는 형태에 따라

 

쌓아주기만 하면 되는 코딩 프로그램입니다.

 

내가 원하는 형태로 움직이게 만드니까 신기하기도 하고 재미를 느껴서 성인인 저도 재미를 느낄 정도라면

 

아이들도 충분히 재미를 느낄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스크래치 프로그램은 어디서 다운로드하는 걸까?

 

프로그램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검색창이나 인터넷 주소창에 한글로 스크래치라고 검색해서

 

창을 조금 아래로 내려주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 들어가셔서 가입을 하시면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만들기 시작하기란 버튼을 누르면

 

프로그램이 실행이 됩니다. 가입절차는 실명은 필요하지 않고 아이디와 비밀번호, 내가 사는 나라, 메일 주소,

 

성별, 태어난 연도와 달 정도만 입력하시면 간단하게 가입이 됩니다.

 

스크래치 기본 화면 설명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처음으로 위의 화면이 생성이 됩니다.

 

언어가 영어로 나와서 당황하셨을 텐데 당황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한국어로 변환이 가능하거든요.

 

상단 왼쪽에 지구본 같은 모양을 클릭하시면 내가 원하는 언어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언어가 있으나 우리는 한국어가 제일 편하니 한국어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오른쪽을 보시면 고양이가 있습니다. 스크래치에서는 이것을 스프라이트라고 부릅니다.

 

스프라이트는 움직일 수 있는 개체, 내가 어떠한 행동을 하게끔 만들어주는 개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존에 보이는 저 고양이를 삭제하려면 오른쪽 화면 하단에 스프라이트 1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곳을 보시면

 

옆에 휴지통 모양이 보입니다. 이것을 클릭하시면 삭제가 됩니다.

 

 

자, 그러면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화면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제일 왼쪽을 보시면 동작, 형태, 소리... 등등의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것들은 코딩을 할 때 필요한 명령어들을 분류한 것입니다. 아이콘 옆의 화면을 보시면 명령어들이 적혀있는 것이

 

보이시죠? 이것을 블록이라고 합니다. 이 블록들을 옆에 스크립트창에서 조립하면

 

오른쪽 화면에서 그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이 보여주는 화면을 스크래처에서는 무대라고 부릅니다.

 

스크래치 코드 설명

 

코드를 보시면 동작, 이벤트, 형태, 소리 등 다양한 코드들이 있습니다.

 

이것들을 한 번 이해하기 쉽게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1. 동작 : 이 코드는 주로 방향이나 이동을 다루는 코드입니다. 좌표값을 이용해서 설정을 할 수도 있고

 

방향 전환도 가능합니다. 시간도 설정할 수가 있어서 내가 원하는 시간 안에 목표지점까지 도달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2. 형태 : 형태는 스프라이트가 말을 하게 하거나 스프라이트의 모양, 크기, 배경의 크기 등을 바꿀 수 있습니다.

 

3. 소리 : 스프라이트에게 소리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음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고 소리를 끌 수도 있습니다.

 

4. 이벤트 : 코드의 첫 시작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어떠한 행동을 했을 때 스프라이트가 처음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가령 시작하기 버튼을 눌렀을 때 스프라이트가 움직이기 시작하게 만든다거나,

 

아니면 내가 스페이스바를 움직였을 때, 그것도 아니면 내가 이 스프라이트를 클릭했을 때 움직이기 시작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5. 제어 : 이 행동은 제약을 걸어두는 것을 말합니다. 스프라이트를 내가 원하는 시간 동안 기다리게 한다거나,

 

아니면 어떠한 동작을 반복하게 한다거나, 또는 어떠한 조건을 줘서 그 행동을 하게 만드는 코드입니다.

 

엑셀 함수 if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가 쉬울까요...?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만약에 x값이 100이라면 어떠한 행동을 하겠다는 것을 설정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감지와 연산 코드는 제어코드에 쓰이는 조건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코드를 잘 읽어보시면 아마 이해가 가능하실 거라고 봅니다. 이것저것 시험해보세요.

 

시험해보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다음 글은 실제로 실습을 해보는 포스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을 읽어주시는 분들 항상 감사드리며, 행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